전체 글
-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뇌 "팝콘 브레인" 의 위험성생활 건강 2021. 7. 13. 19:42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여러분들 팝콘 브레인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아마 들어보신 분들이라면 TV 뉴스라던가 인터넷 신문, 유튜브 같은 곳을 통해 접해보셨을 겁니다. 국어사전에서 정의한 팝콘 브레인은 강한 자극이 넘쳐나는 첨단 디지털 기기의 화면 속 현상에만 반응할 뿐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느리게 변화하는 진짜 현실에는 무감각해진 뇌를 뜻하는데 쉽게 말해서 갑자기 팝콘이 팍! 하고 튀어 오르는 것처럼 즉각적인 현상들에만 반응하는 뇌를 팝콘브레인이라 한답니다. 우리가 자극적인 영상이나 기사, 뉴스, 드라마, 영화 등을 보는 이유를 말해볼까요? 사람들은 보통 지루함의 연속인 평범한 삶 속에 살아갑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루함은 사람들이 견디기 힘들어하지요. 때문에 일상에서 거의 없을 법한 자극적이고 강렬..
-
마스크 피부 트러블 예방하기 일반 마스크 올바르게 쓰는 법생활 건강 2021. 7. 12. 19:58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이제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될 예정인가 봅니다. 오는 전국 날씨가 평균 30도 안 밖을 웃도네요. 체감 온도는 35도 이상이라고 합니다. 예전 같으면 가끔 불어오는 바람을 맨 얼굴로 맞이 했다면 지금은 코로나의 영향으로 아무리 덥다 하더라도 사람이 있는 곳에서는 마스크를 단 한순간도 벗기 힘든 것이 현실입니다. 실내 경우 보통은 여러 냉방기기들로 하여금 불쾌지수가 거의 느껴지지 않죠. 하지만 실외에 경우는 찌는 듯한 더위로 인해 불쾌지수는 한층 상승하고 마스크 착용으로 더 덥고 습하게 느껴집니다. 거기에 더해 마스크 착용으로 얼굴 피부에 문제가 생긴다고 합니다.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문제 먼저 마스크를 쓰고 있으면 공기 순환 자체가 원활해지지 않게 됩니다. 마스크 ..
-
뇌출혈 원인, 초기 증상, 골든타임,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생활 건강 2021. 7. 9. 17:43
안녕하세요. 비버 교수입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등장인물들이 화를 내다가 뒷목을 잡고 쓰러져 못 일어나는 장면이 많이 있는데요. 뒷목을 잡고 쓰러는 이유는 갑작스럽게 혈압이 높아지며 뇌혈관이 터지게 된 경우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뇌출혈 원인, 초기 증상,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출혈, 뇌졸중, 뇌경색의 차이는? 1. 뇌출혈 뇌출혈은 뇌혈관 벽 중 약한 부분이 터지며 출혈이 생겨 뇌에 손상을 일어나는 뇌혈관 장애를 말합니다. 2. 뇌경색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게 되면서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피가 모자라게 되면서 뇌에 손상이 일어나는 뇌혈관성 장애를 말합니다. 3. 뇌졸중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져 출혈이 일어나거나 혈관이 막혀 뇌에 손상이 나타는 질환으로 뇌경색과 뇌출혈을 모두 포함해 뇌졸중이..
-
허파(폐)를 지키는 습관 폐 건강 5가지 방법 폐 건강 테스트생활 건강 2021. 7. 8. 20:12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사람은 생명 유지를 위해 꼭 해야만 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바로 먹고 마시고 호흡을 하며 배설하고 수면을 취하는 등 어느 것 하나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일들이지요. 그중 우리가 살아가는데 한 순간이라도 멈춰서는 안 되는 행동이 있습니다. 바로 숨을 쉬는 행동입니다. 이러한 숨은 사람의 호흡기관인 폐를 통해서 이뤄지게 되는데 코와 입으로부터 공기를 운반하여 피에 산소를 공급하게 됩니다. 만약 우리의 폐기능이 저하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폐기능 장애로 인하여 폐에서의 가스 교환이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아 저산소혈증, 고이산화탄소혈증, 체액이 산성으로 기우는 상태인 산증 등 생기게 되며, 생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상태인 호흡부전이 발생하게 된답니다. 허파는..
-
뇌도 휴식(힐링)이 필요해 지친 뇌를 위한 뇌 휴식법생활 건강 2021. 7. 5. 19:11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우리의 뇌는 보고, 듣고, 맛을 보며, 감정을 느끼는 가 하면 기억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하며 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간의 정신활동을 주관하거나 생명 유지를 위한 배고픔을 알려주며, 근육과 심장 소화기관 같은 모든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등 우리의 모든 활동을 담당합니다. 척수와 함께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에 속하는 뇌는 약 천억 개의 신경 세포들이 끊임없이 정보를 교환하죠. 뇌의 구조는 대뇌, 사이뇌, 중간뇌, 소뇌, 뇌줄기(뇌간), 다리뇌(교뇌), 숨뇌(연수)로 부위마다 하는 일이 다른데요. 대뇌는 감각 정보를 분석, 기억을 저장하며 사고하는 역할 사이뇌(간뇌)는 감각 정보가 통과하는 길목인 시상과 수면, 갈증, 식욕, 체온을 조절하는 시상하부로 구성 소뇌는 몸의 균형..
-
전파력 강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자생활 건강 2021. 7. 3. 21:44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코로나가 발병한 지 일 년 반이 지나가는 현재 코로나 발병 이전 마스크 없이도 살 수 있는 세상에 살았던 것이 정말 그리워집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와 예방을 위해 여러 분야에서 힘써주는 덕분에 어느 정도 안정권에 접어들었다지만 백신을 맞았더라도 아직까지 마스크 없이는 불안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한 때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걱정했던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까지 마수를 뻗치게 되었습니다. 참으로 안타깝기 그지없지만 우리가 이전 코로나 발병 때와 같이 이 변이 바이러스를 알고 대처를 해야 하지 않나 싶은데요. 지금부터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델타 변이 바이러스란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
-
직장내 학업 일상 육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10가지 방법생활 건강 2021. 7. 2. 20:15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여러분들은 평소 긴장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는 살면서 일상 속에서 어느 정도의 긴장감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합니다. 적절한 긴장감은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주게 되죠. 긴장감을 놓고 산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바로 위기에 즉각 대처를 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생태계에서도 그 모습은 쉽게 볼 수 있지요. 한 예로 목이 말라 물을 먹고 있는 육지동물을 단숨에 집어삼키는 악어를 보면 긴장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살면서 악어와 같은 포식자를 마주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만 긴장을 놓고 살만큼 세상은 녹록지 않지요.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긴장감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것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도 마찬가지지요. 누구나 ..
-
색으로 보는 건강 몸에 좋은 컬러푸드 알아보기생활 건강 2021. 6. 30. 20:33
안녕하세요. 비버교수입니다. 우리는 빛의 주파수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색상들을 보고 색이라고 합니다. 세상 모든 것에는 저마다 고유의 색이 있는데요. 정말 신기하게도 세상에서는 아무 이유 없이 색을 띠는 경우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죠. 사람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우리가 사람을 만나면서 사람의 상태를 살필 때 흔히 안색을 보게 되는데요. 얼굴색이 붉거나 누렇게 뜨거나 창백하거나 검었을 경우 "아프다"라는 인식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만약 몸이 반응을 하지 않고 색의 변화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작은 병은 병을 더 키우게 만들며 큰 병이 있다면 목숨까지 위태로울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색은 우리가 위기에 처했을 때 알리는 신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죠. 자 그럼 서론은 이쯤으로 하고 ..